반응형
프로그래머스 1단계 : 제일 작은 수 제거하기
정수를 저장한 배열, arr 에서 가장 작은 수를 제거한 배열을 리턴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주세요. 단, 리턴하려는 배열이 빈 배열인 경우엔 배열에 -1을 채워 리턴하세요. 예를들어 arr이 [4,3,2,1]인 경우는 [4,3,2]를 리턴 하고, [10]면 [-1]을 리턴 합니다.
※ 제한사항
arr은 길이 1 이상인 배열입니다.
인덱스 i, j에 대해 i ≠ j이면 arr[i] ≠ arr[j] 입니다.
인덱스 i, j에 대해 i ≠ j이면 arr[i] ≠ arr[j] 입니다.
※ 입출력 예
arr | answer |
---|---|
[4,3,2,1] | [4,3,2] |
[10] | [-1] |
function solution(arr) {
const index = arr.indexOf(Math.min(...arr));
arr.splice(index, 1);
return arr.length === 0 ? [-1] : arr;
}
arr 배열내 요소의 index값을 찾는 indexOf()메서드를 사용하는데 가장 작은 수를 찾아야 하므로, Math.min()메서드를 사용하여 arr 펼침연산자를 통해 값을 index변수에 저장합니다. 그리고
splice()메서드로 저장한 index값에서 부터 1개의 요소를 삭제시킵니다. 최종 arr의 길이 값이 0이라면 빈 배열이므로 [-1]을 반환, 아니라면 arr을 반환하도록 하면 끝입니다.(배열의 정렬이
바뀌면 안된다는 조건이 있나봐요....)
※ 다른 사람의 풀이
function solution(arr) {
// Array 함수 이용
var min = arr.reduce((p, c) => Math.min(p,c))
var r = arr.filter(v => v != min);
r = r.length == 0 ? [-1] : r;
console.log(r)
return r;
}
reduce(Math.min())메서드를 사용해 arr 배열내의 가장 작은 수를 min변수에 저장합니다. r변수에는 arr에 filter()메서드로 엘리먼트값과 min변수의 값이 일치하지 않는 변수를 저장합니다.
r변수의 길이값이 0이라면 [-1]을 아니라면 min값을 반환합니다. 사용한 메서드는 다르지만 비슷하네요 ㅎㅎ
반응형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1단계 : 내적 (4) | 2022.11.20 |
---|---|
프로그래머스 1단계 : 문자열 내림차순으로 배치하기 (2) | 2022.11.20 |
프로그래머스 1단계 : 핸드폰 번호 가리기 (4) | 2022.11.17 |
프로그래머스 1단계 : x만큼 간격이 있는 n개의 숫자 (1) | 2022.11.16 |
프로그래머스 1단계 : 나누어 떨어지는 숫자 배열 (4) | 2022.11.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