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고리즘

프로그래머스 1단계 : 예산

by 코터틀 2022. 12. 2.
반응형

프로그래머스 1단계 : 예산

S사에서는 각 부서에 필요한 물품을 지원해 주기 위해 부서별로 물품을 구매하는데 필요한 금액을 조사했습니다. 그러나, 전체 예산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모든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 줄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최대한 많은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 줄 수 있도록 하려고 합니다.
물품을 구매해 줄 때는 각 부서가 신청한 금액만큼을 모두 지원해 줘야 합니다. 예를 들어 1,000원을 신청한 부서에는 정확히 1,000원을 지원해야 하며, 1,000원보다 적은 금액을 지원해 줄 수는 없습니다.
부서별로 신청한 금액이 들어있는 배열 d와 예산 budget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최대 몇 개의 부서에 물품을 지원할 수 있는지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 제한사항

d는 부서별로 신청한 금액이 들어있는 배열이며, 길이(전체 부서의 개수)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
d의 각 원소는 부서별로 신청한 금액을 나타내며, 부서별 신청 금액은 1 이상 100,000 이하의 자연수입니다.
budget은 예산을 나타내며, 1 이상 10,000,000 이하의 자연수입니다.

※ 입출력 예

d budget result
[1,3,2,5,4] 9 3
[2,2,3,3] 10 4

function solution(d, budget) {
    let answer = 0;
    let x = d.sort((a, b) => a - b);
    let y = 0;
    for(i = 0; i < x.length; i++){
        // console.log(y + x[i] <= budget)
        if(y + x[i] <= budget){
            y = y + x[i];
            answer++;
        }
    }
    
    return answer;
}

d배열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x변수에 저장해주고 y변수는 비교를 위해 생성합니다. for문을 사용하여 내부에 if문을 사용해 y변수가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x변수의 인덱스값을 합한 값이 예산보다 작거나 같다면, y변수에 x인덱스값을 누적하여 비교하도록하고, answer값에 1을 누적하여 더해줍니다.

※ 다른 사람의 풀이

function solution(d, budget) {
    return d.sort((a, b) => a - b).reduce((count, price) => {
        return count + ((budget -= price) >= 0);
    }, 0);
}

오름차순으로 정렬하고 예산이 -가 되지 않으면 count를 ++ 해줘서 구했네요.
반응형

댓글


광고 준비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