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함수
함수는 프로그램에서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기능을 만들어 내기 위한 코드들의 집합입니다.
분류 | 종류 | 설명 |
---|---|---|
사용자 정의 함수 | 선언적 함수 익명 함수 |
프로그램에서 필요한 기능을 사용자가 직접 정의해서 사용하는 함수입니다. |
01. 선언적 함수
'선언적 함수'는 함수를 호출할 때 함수의 앞 또는 뒤에서 호출 가능합니다.
function func() {
document.write("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1");
}
결과 확인하기
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1
02. 익명 함수
익명 함수는 변수에 함수 데이터를 저장항 변수를 마치 함수처럼 사용 할 수 있도록 만들어 줍니다.
익명 함수는 변수 선언 이후에 호출해야 합니다.
const func = function () { // 함수에 이름이 없어서 변수에 넣어 사용함
document.write("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2");
}
결과 확인하기
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2
03. 매개변수 함수
함수를 호출할 때 전달하는 변수를 '매개변수'라고 합니다.
// 변수 : 지역변수 + 전역변수 + 매개변수
// 함수 : 지역함수 + 전역함수
function func(str) {
document.write(str);
}
func("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3");
결과 확인하기
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3
04. 리턴값 함수
함수를 통해 처리된 결과를 반환시켜주는 명령어입니다.
function func() {
const str = "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4";
return str;
}
document.write(func());
결과 확인하기
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4
05. 화살표 함수 : 선언적 함수
ECMAScript 2015(ES6)에 추가된 내용으로 '=>'을 이용하여 함수를 간결하게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단일 명령문일 경우에는 함수의 중괄화{}와 return을 생략할 수 있습니다.
// func = () => {
// document.write("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5");
// }
// func(); // 화살표 함수 표현1
func = () => document.write("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5");
func(); // 화살표 함수 표현2
결과 확인하기
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5
06. 화살표 함수 : 익명 함수
// const func = () => {
// document.write("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6");
// }
// func(); // 화살표 함수 표현1
const func = () => document.write("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6");
func(); // 화살표 함수 표현2
결과 확인하기
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6
07. 화살표 함수 : 매개변수 함수
// func = (str) => {
// document.write(str);
// }
// func("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7"); // 화살표 함수 표현 방법1
// func = (str) => document.write(str);
// func("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7"); // 화살표 함수 표현 방법2
func = str => document.write(str);
func("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7"); // 화살표 함수 표현 방법3
결과 확인하기
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7
08. 화살표 함수 : 리턴값 함수
func = () => {
const str = "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8";
return str;
}
document.write(func()); // 화살표 함수 표현 방법
결과 확인하기
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8
09. 화살표 함수 : 익명함수 + 매개변수 + 리턴값
const func = (str) => { // 익명함수 + 매개변수
return str; // 리턴값
}
document.write(func("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9"));
결과 확인하기
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9
10. 화살표 함수 : 익명함수 + 매개변수 + 리턴값 + 괄호 생략
const func = str => { // 매개변수의 괄호가 생략됨
return str;
}
document.write(func("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10"));
결과 확인하기
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10
11. 화살표 함수 : 익명함수 + 매개변수 + 리턴값 + 괄호 생략 + 리턴 생략
const func = str => str; // 중괄호, 리턴 생략
document.write(func("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11"));
결과 확인하기
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11
12. 화살표 함수 : 선언적 함수 + 매개변수 + 리턴값 + 괄호 생략 + 리턴 생략
func = str => str; // const, 중괄호, 리턴 생략
document.write(func("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12"));
결과 확인하기
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12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