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SS

CSS 색상 표현 방법

by 코터틀 2022. 8. 23.
반응형

CSS 색상 표현 방법

CSS에서 색을 표현하는 방법에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색상 이름으로 표현
2. RGB 색상값으로 표현
3. 16진수 색상값으로 표현


색상 이름으로 표현

색상 이름으로 표현이 가능합니다.
W3C에서 정의한 16개의 HTML4 표준 색상 이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aqua black blue fuchsia
gray green lime maroon
navy olive purple red
silver teal white yellow

HTML에서 색상 이름은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습니다.

.blue { color: blue; }
.green { color: green; }
.silver { color: silver; }
결과 확인하기

blue

green

silver

RGB 색상값으로 표현

모니터나 스크린은 빨간색(Red), 녹색(Green), 파란색(Blue)을 혼합하여 색을 표현합니다.
따라서 HTML에서도 이 세 가지 색을 가지고 색을 표현하는 RGB 색상을 사용합니다.
RGB 색상의 기본색(Red, Green, Blue)은 각각 0부터 255까지의 범위를 가집니다.

.blue { color: rgb(0,0,255); }
.green { color: rgb(0,128,0); }
.silver { color: rgb(192,192,192); }
결과 확인하기

blue

green

silver

16진수 색상값으로 표현

16진수 색상값은 RGB 색상값을 각각 16진수로 변환한 것입니다.
따라서 RGB 색상의 기본색(Red, Green, Blue)은 각각 00부터 FF까지의 범위를 가집니다.

.blue { color: #0000FF; }
.green { color: #008000; }
.silver { color: #C0C0C0; }
결과 확인하기

blue

green

silver


CSS3 색

CSS3에서 새롭게 추가된 색 표현
1. RGBA 색상값으로 표현
2. HSL 색상값으로 표현
3. HSLA 색상값으로 표현
4. opacity 속성

RGBA 색상값으로 표현

RGBA 색상값은 RGB 색상값에 알파 채널 값을 더한 색상값입니다.
알파 채널(alpha channel)이란 색상의 투명도를 나타내는 채널입니다. 알파 채널 값은 완전한 투명 상태인 0.0부터 투명도가 전혀 없는 1.0 사이의 값을 가집니다.

#header_01 {background-color: rgba(0,255,0,0);}
#header_02 {background-color: rgba(0,255,0,0.2);}
#header_03 {background-color: rgba(0,255,0,0.4);}
#header_04 {background-color: rgba(0,255,0,0.6);}
#header_05 {background-color: rgba(0,255,0,0.8);}
#header_06 {background-color: rgba(0,255,0,1);}
결과 확인하기

RGBA 색상값

RGBA 색상값

RGBA 색상값

RGBA 색상값

RGBA 색상값

RGBA 색상값

HSL 색상값으로 표현

HSL 색상값은 빛의 삼원색으로 색을 표현하는 RGB 색상값과는 달리 색상, 채도, 명도를 사용해서 색을 표현합니다.
HSL 색상값에서 HSL은 각각 색상(Hue), 채도(Saturation), 명도(Lightness)를 의미합니다.
색상은 0부터 360 사이의 값을 가지며, 색상환(color wheel)의 각도를 나타냅니다.
색상 값이 0 또는 360이면 빨간색(red)이 되며, 120이면 녹색(green), 240이면 파란색(blue)이 됩니다.

HSLA 색상값으로 표현

HSLA 색상값은 HSL 색상값에 알파 채널 값을 더한 색상값입니다.

#header_01 {background-color: hsla(0, 100%, 50%, 0);}
#header_02 {background-color: hsla(0, 100%, 50%, 0.2);}
#header_03 {background-color: hsla(0, 100%, 50%, 0.4);}
#header_04 {background-color: hsla(0, 100%, 50%, 0.6);}
#header_05 {background-color: hsla(0, 100%, 50%, 0.8);}
#header_06 {background-color: hsla(0, 100%, 50%, 1);}
결과 확인하기

HSLA 색상값

HSLA 색상값

HSLA 색상값

HSLA 색상값

HSLA 색상값

HSLA 색상값

opacity 속성

opacity 속성은 색상에 대한 투명도를 설정해 줍니다.
opacity 속성값은 완전한 투명 상태인 0.0부터 투명도가 전혀 없는 1.0 사이의 값을 가집니다.

#header_01 {background-color: rgb(0,255,0); opacity:0}
#header_02 {background-color: rgb(0,255,0); opacity:0.2}
#header_03 {background-color: rgb(0,255,0); opacity:0.4}
#header_04 {background-color: rgb(0,255,0); opacity:0.6}
#header_05 {background-color: rgb(0,255,0); opacity:0.8}
#header_06 {background-color: rgb(0,255,0); opacity:1}
결과 확인하기

opacity 속성

opacity 속성

opacity 속성

opacity 속성

opacity 속성

opacity 속성


opacity 속성은 투명도를 설정했을 때 설정한 요소의 모든 자식(child) 요소까지 전부 같은 투명도로 설정합니다.
하지만 알파 채널은 투명도를 설정한 요소에만 투명도를 설정하는 차이점이 존재합니다.

반응형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x 애니메이션  (9) 2022.08.29
CSS 요소 숨기기  (13) 2022.08.25
CSS 단위  (10) 2022.08.23
이미지 스프라이트 / IR 효과 / 백그라운드 표현  (7) 2022.08.20
SCSS/SASS 정리  (13) 2022.08.18

댓글


광고 준비중입니다.